분류 전체보기4069 [고스트 아이템] 고객과 판매자 사이의 프리미엄 코드 고스트 아이템이라는 용어가 생소한듯(?) 하지만, 내용을 보니 개념은 어느정도 알고 있는것들 같기도 하네요. 결국 고객(사용자)과 판매자(서비스 제공자, 운영자) 사이의 관계를 좀 더 공고히 할 수 있는 일종의 마케팅 전략이죠. 쇼핑몰 운영자이든, 식당을 운영하든, 또는 인터넷 사용자를 대상으로 서비스하는 분들이든 간에, 이 고스트 마케팅 전략은 잘만 이용(응용)한다면 꽤나 유용할 듯 싶네요. 상업적인 목적이라기 보단 소수 타겟의 판매와 이에 수반되는 재미와 혜택의 요소를 적절히 배합한 전략이라 할 수 있다. 즉, 소수 고객과 판매자 사이를 연결하는 일종의 프리미엄 시크릿 코드라고 정의할 수 있다. 1. 프리미엄 고객을 위한 의 정례화2. App을 활용한 프리미엄 고객 분석/관리 의 개발3. 재미요소의 .. 2014. 4. 30. 국가적 재난 상황시 기업의 소셜 미디어 대처 방안 국가적 재난이 발생할 경우, 기업 소셜미디어 담당자들은어떻게 대처해야하는지에 대해 가이드라인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국가 재난 상황에서 브랜드를 위한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가이드라인http://junycap.com/704 2014. 4. 28. 조금씩 변화를 보이는 티스토리에서 간담회가 열리는군요 티스토리 블로그 공지에 올라온 글을 보니, 블로거들과 간담회를 하는가 보네요. 아무쪼록, 티스토리를 아끼는 블로거들과 좋은 의견교류를 통해 좀 더 발전하는 티스토리가 되길 바래봅니다. (거리라도 가까웠으면 한 번 신청해볼텐데...ㅎㅎ) 상세보기 : http://notice.tistory.com/2163 2014. 4. 28. 리더십 부재, 위기관리 대응능력 제로 리더십 부재, 위기관리 대응능력 제로 소셜미디어 운영에 관한 이야기기 될 수도 있겠고, 기업 운영에 관한 이야기가 될 수도 있겠다. 어느쪽에 적용하던 무리없을 듯. 1) 작은 기업의 내부 스토리를 발굴하고 이를 소셜미디어 채널을 통해 오픈하는 것에는 많은 수고와 어려움이 따름을 지난 몇 년간 계속해서 반복 경험하게 된다. 1차원적인건, 해당 조직의 대표가 소셜미디어에 대해 이제는 관심을 갖고 있다지만, 역시나 소셜미디어 채널 운영에 투입되는 인력에 대한 지원, 내부 구성원들의 협업, 그리고 일정부분 필요한 마케팅 비용등에 대한 투자에 대해서는 여전히 명확한 해답을 내놓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 하지만, 소셜미디어에 대한 필요성은 또 인지하고 있다보니 여러모로 작은 기업내 소셜미디어 담당자들은 어려운 .. 2014. 4. 22. 이전 1 ··· 812 813 814 815 816 817 818 ··· 101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