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커뮤니케이션199

내가 진정 원하는게 무엇인지 모르는 그대를 위해... 자신이 진정 원하는게 무엇인지 모르고 계시는분들이 의외로 많더군요. 내가 진정 원하는게 무엇인지? 내 꿈은 무엇인지? 라는 주제에 대해서 자신있게 대답을 못하고 골똘히 생각에 잠기시는분들이 의외로 많다는데서 놀랐습니다. 아마도 짧은 제 소견으로는 각자의 삶에 고군분투 하며 살아가고 있다보니, 자신 스스로를 되돌아 볼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도 챙기질 못했거니와 마음의 여유 또한 가지지 못하며 아둥바둥 거리며 하루하루 전쟁같은 시간들을 보내는게 이유가 되지 않을까 싶더군요. 아래 두개의 포스팅 내용과 관련글들을 참고해서 보신다면, 조금은 도움이 될까 싶어 적어봅니다만, 중요한것은 스스로의 마음가짐인거죠. 열정도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중요한것은 생각한것을, 마음먹은것을 행동으로 실천할 수 있는 용기 또한 필요한법.. 2009. 11. 7.
소셜미디어 관련 링크 몇가지 1) 구글의 소셜검색(Social Search)이 어떻게 동작하는지 잘 설명한 비디오라고 하는군요. http://www.youtube.com/watch?v=BlpTjP6h6Ms&feature=player_embedded 2) 소셜 미디어 커뮤니케이션 전문가의 업무분야 소셜 미디어 플랫폼 / 소셜 네트워크 전략 / 사내 유관 부서 협업 실행 소셜 미디어 툴 리뷰 / 콘텐츠 편집 전략 / 소셜 미디어 트레이닝 소셜 미디어 정책 / 소셜 미디어 대화 분석 / 소셜 미디어 협의회 / 소셜 미디어 활동 평가 http://junycap.com/blog/582 3) 원더걸스 미국 진출의 1등 공신은 블로그? http://www.midorisweb.com/596 많은 분야가 있겠지만 엔터테인먼트 영역에선 소셜미디어가 .. 2009. 11. 6.
소셜 미디어를 통한 기업의 위기관리 미도리님의 블로그를 RSS로 구독해보다가, 소셜 미디어를 통한 기업의 이슈 대응 가능할가? 라는 주제로 글을 올리셨더군요. 소셜 미디어 분야에 관심이 많기도 한지라 천천히 글을 읽다가 보니 - 그럼 과연 우리 회사에선 기업의 이슈가 생겼을 경우 어떻게 대응을 할까? 라는 생각이 들더군요. 보통의 작은 회사들의 경우, 사내 인력의 수가 한정되어 있는게 사실이죠. 특히나, 대외홍보나 언론사를 상대로 업무를 진행하는 부서는 특정부서일 경우가 많구요, 인력도 불과 몇명 내외인 경우가 대부분일텐데... 위의 내용처럼 기업의 특정 이슈가 발생한 경우, 과거의 업무형태를 살짝 보노라면 거의 언론사나 특정 사이트에 이슈가 된 글을 삭제한다거나,(혹은 요청한다거나) 대응과 관련한 보도자료 돌리는게 전부인 형태가 되더군요.. 2009. 10. 29.
마인드의 차이 각종 프로젝트를 진행하다보면 다양한 문제에 직면하게 되는데, 그중에서도 가장 어렵고 힘든것이 바로 사람과 사람사이의 커뮤니케이션이 아닐까 싶네요. 저마다 입장이 있고 업무가 있겠지만, 이러해서 힘들다(못한다), 저러해서 어렵다 등... 부정적 견해를 입밖으로 내뱉어 버리는 순간 - 본인 뿐만이 아닌 그 상황의 이야기를 듣게되는 상대방 동료 역시나 함께 기운 빠지게 되는 얘기일 수 밖에는 없는것인데... 어느 한사람이, 어느 한 부서만이 노력한다고 해서 되는게 아닌것이죠. 프로젝트라는게 공동의 목표의식이 뚜렷하게 인지된 상황에서도 이렇듯 어렵고 힘든게 프로젝트 진행일진데, 자꾸 폐쇄적 모습을 보이려고 하는게 눈에 보일때마다 안타까운 생각이 듭니다. 조금만 더 능동적인 자세를 보여주었으면 하는 바램이 있습니.. 2009. 10. 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