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3914

자칭 소셜미디어 전문가들 믿을만해? 한통의 이메일을 받고난 후 많은 생각에 잠기게 되더군요. 인맥네트워크 사이트에서 인연을(?) 맺은 후, 트위터와 페이스북등에서 많은 커뮤니케이션을 하고 있는 강영재(이사)님께서 보내주신 이메일 이었습니다. 현재 이스토리랩(eStory Lab)의 소셜콘텐츠사업부를 맡고 계신다죠. ^^ 이메일의 핵심은 '차별화된 SNS 전문가 그룹의 필요성'에 대해서 언급하시며 관심있는 많은분들께 도움을 요청하시는 글이었습니다. 개인적으로도 많은 공감이 되는 글이었는데, 그중에서 눈에 띄는 부분이 있어 여러분들과 함께 공유 및 고민을 해볼까 합니다. 최근 우후죽순 늘어가는 자칭 소셜미디어 전문가들로 인해 SNS 관련 교육 시장의 포화가 앞당겨지고 있는 상황입니다. 물론 SNS 시장 저변 확대에 대한 긍정적인 면도 분명 있습.. 2010. 8. 28.
블로그에 푹~ 빠지셨더라도 주말엔 푹~ 쉬어주세요. 블로깅하는 재미에 푹~ 빠지셨나요? ^^ 그렇다면, 주말 동안이라도 충분한 휴식을 취해보는건 어떨까요? 평일에 열심히 블로그 관리를 해오신 여러분 모두~ 휴식이 필요한 때입니다. 블로그에 올릴 내용들이 많이 준비가 되었다 하더라도 예약 포스팅으로 발행 해두시거나, 아니면 비공개글로 마무리까지만 해두시고, 주말은 그래도 푹~ 쉬어주세요. 가족과 함께. 친구와 함께. 연인과 함께. 그리고 나를 위해서 말이죠. ^^ 2010. 8. 27.
야생형 인재와 기업문화 기업의 근간이자 재산은 결국 그 기업을 지탱하고 있는 구성원들. 즉, 직원들입니다. 다양한 인재들이 모여 하나의 목표(기업의 비전)를 향해 땀방울을 흘리는 모습은 진정 아름답기까지 합니다. 이런 다양한 인재들을 지속적으로 역량을 개발시켜 기업의 핵심인력들로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많은 노력들과 다양한 도전들을 해볼수도 있겠습니다만, 궁극적으로는 기업문화가 바뀌어져야 합니다. 아래 내용은 인재를 키우기 위해서 기업문화가 어떻게 바뀌어져야 하는지를 알려주고 있습니다. 우리 회사에는 마땅한 인재가 없는것 같아. 우리 회사는 인재를 발굴하고 지원해줄만한 마땅한 시스템이 없는것 같아 등... 기업과 구성원 모두의 입장에서 나올법한 불만이기도 합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결국 '기업문화'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역설하고.. 2010. 8. 27.
성공 방정식에 대해... 제 경우는 다양한 사이트들에서 뉴스레터를 받아보고 있습니다. SNS가 발달되고 이슈가 되는 요즘의 상황에 비춰본다면, 이메일의 활용도가 많이 떨어지지 않을까 싶긴하지만 개인적 견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메일 서비스는 여전히 유효하다입니다. ㅎㅎ 오늘 받아본 뉴스레터 중에 성공 방정식이라는 주제에 대해서 좋은 글이 도착했는데, 결론은 달랑 2줄이더군요. 하지만, 그 2줄에 모든 성공에 대한 방정식(노하우)이 집약되어 있다면 여러분은 믿으시겠습니까? 아래에 제가 그 성공 방정식을 공개합니다. 성공 방정식 어느 날 한 신사가 기업가를 찾아왔다. 신사는 편지 봉투 하나를 내밀더니 이렇게 말했다. "선생님, 이 편지 봉투 안에는 '성공 방정식'을 적은 편지가 들어 있습니다. 이 방정식을 25,000달러를 받고 기.. 2010. 8. 26.